디지털논리회로 (3) 썸네일형 리스트형 디지털논리회로 (2) - 수의 체계 1. 기수란 무엇인가?기수가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는 먼저 기수법에 대해 알아야한다. 기수법은 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기수법을 통해서 나타나는 각각의 숫자는 다른 수들과구별되는 표기 방식을 가진다. 단항 기수법: 가장 단순하고 원시적인 기수법으로 1에 대한 표기만 가지고 모든 수를 표현한다.명수법: 특정 수들에 대한 의미를 기호로 표현한다.위치값 기수법: 숫자의 위치와 계수를 이용하여 수를 표현한다. ~ 고대부터 기수법은 문명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고,각 문명의 기수법체계는 그 사회의 문화와 사상을 반영한다. ~ 학자들에 따르면 일렬로 나열된 단위 기호가 4개를 넘으면 쉽게 숫자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단항 기수법에서 한 줄에 존재하는 단위 기호는 최대 4개인 것이 일반적이라.. 디지털논리회로 (1) -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차이 들어가면서1. 컴퓨터의 정의2. 디지털 컴퓨터, 아날로그 컴퓨터 1.컴퓨터의 정의컴퓨터는 입력된 자료(Data)를 프로그램(Program)이라는 명령 순서에 따라 처리하여 그 결과를 사람이 알아볼 수 있는 정보로 출력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이다.├ 위 정의에 따른다면, 입력된 자료를 명령 순서에 따라 연산하는 것은 컴퓨터라 할 수 있을것이다. 그렇다면 아날로그 컴퓨터와 디지털 컴퓨터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 것일까? 디지털 컴퓨터와 아날로그 컴퓨터는 같은 컴퓨터임에도 디지털과 아날로그로 그 분류상 나뉘어있다. 대체 아날로그와 디지털은 무엇인걸까?앨런튜링: 이미테이션 게임이라는 책에서 앨런튜링은 기계는 아날로그이고, 디지털적으로 제작되어야한다고 말했다.그렇다면 아날로그는 기계를 의미하는 걸까? 그렇다면 기계.. 디지털논리회로(7) - 7장조합논리회로 조합논리회로(Combination Circuit)란- 조합논리회로는 논리곱(AND) , 논리합(OR), 논리 부정(NOT)의 세 가지 기본 논리 회로를 조합하여구성한 논리 회로이다.- 조합논리회로는 입력변수, 논리 게이트, 그리고 출력변수들로 구성된다. 조합논리회로부터는 진리표를 그리게 되면 출력이 여러개인 경우를 볼 수 있다. 각각 의미에 따라 쓰임새가 다르다.또한 , 조합논리 회로는 플립플롭과 같은 기억장치를 따로 가지고 있지 않다. 그렇기에 입력에 따라 출력이 바뀐다.조합논리회로의 각종 응용 회로 01. 가산기 05. 멀티플렉서 02. 비교기 06. 디멀티플렉서 03. 디코더 07. 코드 변환기 04. 인코더 08. 패리티 발생기/검출기 01 가산기 유형- 반가산기- 전가산기- 병렬가산기- .. 이전 1 다음